본문 바로가기

QQQ

'22년 1월 주식투자 결산 -6.06%, -6,017,261 KRW '22년 1월 주식투자 결산 -6.06%, -6,017,261 KRW 1. '22년 1월 주식투자 결산 -6.06%, -6,017,261 KRW 22년 1월의 코스피는 -10%로 최악의 한 달을 보냈으며, 미국 지수도 조정장을 피할 수는 없었다. S&P500은 -5.26%로 나름 선방하며 마감했고, 나스닥은 -6.06%로 마감했다. 원래 훨씬 하락이 컸지만, 31일 반등하며 조금은 회복한 모습이다. 나의 계좌는 나스닥보다는 선방했지만, S&P500보다는 부진한 성과를 보였다. 그래도 아직까지는 1년간 시장 수익률을 이기고 있기 때문에, 내 투자를 이어나갈 생각이다. 사실 시장보다 부진한 성과가 이어진다면 이러한 투자는 아무 의미가 없다. 그냥 시장을 추종하는 ETF를 매수하는 게 바람직한 선택이기 때문이.. 더보기
#3 SPDR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ETF, DIA #3 SPDR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ETF, DIA 오늘은 개별주식은 아니지만, 내가 좋아하는 ETF를 정리하기로 했다. 우선 ETF란, Exchange Trade Fund의 약자로써, 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하고, 특정 주가 지수의 따라 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펀드이다. 미국에는 다양한 컨셉의 ETF도 많다. 예를 들어 전기차 관련, 반도체 관련, 배당을 25년 이상 증가한 기업만 모아논 ETF 등. 그리고 단순히 인덱스를 추종하는 ETF도 있다. 여기서 DIA는 후자의 ETF에 속해있다. 우리나라의 코스피,코스닥 처럼 미국에는 3개의 인덱스가 있다 (S&P500, NASDAQ, 다우존스). S&P500은 미국 대표 우량주 500개가 모여있으며, 산업이 골고루 분포되.. 더보기
#2 스타벅스 ( Starbucks Inc. SBUX) #2 스타벅스 ( Starbucks Inc. SBUX) 시가총액 : 141조 2,446억 원 배당수익률 : 1.71% ( 21` 3월 26일 기준 ) 스타벅스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회사 중 하나이다. 시가총액이 무려 141조.. 만약 우리나라 회사였다면, 삼성전자에 이어 바로 시가총액 2등 회사다. 3등은 SK 하이닉스는 100조가 채 되지 않는다. '단순히 커피 파는 회사가 왜 이렇게 높지?'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조금만 더 들여본다면 이 높은 시가총액을 이해할 수가 있을 것이다. 스타벅스 코리아의 현주소이다. 최근 '강남구' 에만 스타벅스 100호점이 들어섰다. 또한 오른쪽 사진을 보면 2020년 기준 스타벅스를 제외한 모든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결제액을 합쳐도 스타벅스 하나에도 미치지 못한다... 더보기